녹내장,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가 핵심입니다
녹내장은 시신경이 점진적으로 손상돼 시야가 좁아지고 시력이 저하되는 만성 안과 질환이다. 주된 원인은 높은 안압이지만, 안압이 정상이어도 시신경 구조의 취약성, 혈류 장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40세 이상, 가족력이 있는 경우, 고도 근시, 당뇨나 고혈압 같은 전신질환이 있는 사람은 녹내장 발병 위험이 더 높다.
최근 회사원 B씨 사례처럼 단순히 눈이 침침해 안과를 찾았다가 우연히 녹내장이 발견되는 경우도 많다. 안구 건조 증상으로 병원을 찾았다가 시신경 모양이 의심스러워 정밀검사를 통해 진단받는 경우다. 하지만 많은 경우 녹내장은 초기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발견이 늦어질 위험이 크다.
녹내장 진단은 왜 복잡할까?
녹내장은 단순한 시력, 안압 검사만으로 진단하기 어렵다. 세브란스병원 안과 배형원 교수는 "녹내장은 평생 관리해야 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진단이 매우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기본적으로 시력 검사, 안압 측정은 물론 시신경 손상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시신경 사진, 빛간섭단층촬영(OCT), 시야 검사, 전방각경검사 등을 종합적으로 진행한다.
특히 시야 검사는 중요하지만, 시야가 눈에 띄게 좁아지기 전까지 시신경 손상이 상당 부분 진행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시신경과 시신경 섬유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검사법들이 발전해, 보다 조기 발견이 가능해지고 있다.
녹내장은 치료가 아닌 관리 질환
녹내장은 완치가 가능한 질환이 아니다. 이미 손상된 시신경은 회복되지 않는다. 다만 안압을 효과적으로 조절해 더 이상의 진행을 막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다. 배 교수는 “녹내장 치료는 안압을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 안약, 레이저 치료, 수술 등을 병행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안약을 통해 방수의 배출을 촉진하거나 생성을 억제해 안압을 낮추고, 필요에 따라 레이저 시술이나 수술적 치료도 시행할 수 있다. 꾸준히 관리하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어, 시야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녹내장 예방과 관리, 어떻게 해야 할까?
녹내장은 실명을 초래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이지만, 조기 발견하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 대부분 증상이 없는 만큼, 40세 이상 성인은 1년에 한 번씩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 40세 이전이라도 가족력이 있거나, 고도 근시, 고혈압, 당뇨 등 위험 요인이 있다면 더 일찍 검진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일단 녹내장 진단을 받았다면, 반드시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꾸준히 치료하고 정기 검사를 받아야 한다. 치료를 중단하거나 관리에 소홀하면 시야 손실이 진행될 수밖에 없다.
녹내장은 증상이 없다고 방심하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조기 발견과 ✅ 꾸준한 안압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나빠진 시야는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인 안과 검진과 전문의의 치료 지침을 따르는 것이 시력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이다.
'건강과 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세아 두부 마요네즈 레시피 공개! 저칼로리·고단백으로 다이어트에 딱 (3) | 2025.03.17 |
---|---|
당뇨·고혈압 환자 필독! 만성콩팥병 진행 막는 생활 수칙 (6) | 2025.03.17 |
팔팔 끓여도 안심 금물! <퍼프린젠스 식중독> 예방 수칙 총정리 (3) | 2025.03.16 |
알레르기 비염 예방법: 2세대 항히스타민제와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활용법 (2) | 2025.03.16 |
'미역국' 너무 많이 먹으면 오히려 해롭다? (1)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