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법이론

갈등과 행동의 연쇄로 플롯을 쌓는 법

by 티지와우 2025. 7. 20.
반응형

갈등과 행동의 연쇄로 플롯을 쌓는 법


 

이야기를 창작할 때 ‘플롯’은 단순한 사건의 나열이 아닙니다.

 

인물 간 갈등이 촉발되고, 등장인물이 이를 극복하거나

외면하며 취하는 행동의 연쇄가 바로 서사의 동력이 되죠.

 

이 글에서는 “갈등과 행동의 연쇄로 플롯을 쌓는 방법”에 대해,

실제 예시와 단계별 팁까지 포함해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 플롯의 정의와 구조

 

플롯(Plot)은 사건의 인과적 연결,

즉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가’를 보여주는 이야기의 구조입니다.

 

사건들이 시간 순서대로 단순하게 진행되는 ‘줄거리’와는 다릅니다.

플롯은 인과관계를 중시하며, 각 행동이 다음 사건의 원인이 되도록 배열합니다.

 


플롯의 4단계 구조

 

  • 발단: 인물, 배경, 상황 소개
  • 갈등: 사건이 발생하며, 인물 간 갈등이 생성
  • 절정: 갈등이 극대화되고, 주인공의 결정적 행동
  • 결말(대단원): 갈등 해소, 변화와 성장 완성

플롯 구성의 핵심 – 갈등과 행동의 연쇄

 

1. 갈등: 서사의 출발점

 

갈등은 이야기를 굴러가게 하는 시금석입니다.

 

  • 내적 갈등: 인물의 마음속에서 벌어지는 충돌(양심과 욕망, 두려움과 용기 등)
  • 외적 갈등: 인물 사이, 인물과 사회/환경의 대립

 

갈등이 발생하면, 등장인물은 평온을 되찾기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할 수밖에 없습니다.

 

 

2. 행동: 사건을 움직이는 엔진

 

인물이 갈등을 느낄 때,

이를 해결하거나 회피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행동이 나오게 됩니다.

 

<예시:>

  • 오해로 다투는 연인 → 화해를 시도, 또는 등을 돌림
  • 두려움을 느낀 학생 → 포기하거나 도전함

 

이처럼 모든 주요 사건의 전환점에는 인물의 행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3. 연쇄의 구조: 인과의 고리

 

  • 갈등 → 행동 → 또 다른 갈등 → 새로운 행동

 

이런 방식으로 이야기는 계속 뻗어나가며,

연쇄적인 갈등과 행동이 촘촘히 엮일수록 서사는 긴장감과 설득력을 갖춥니다.

 


 

✅ 플롯을 효과적으로 쌓는 5단계 실전 팁

 

단계 핵심 질문 예시
1 인물의 '욕망/목표'? 주인공은 무엇을 원하나?”
2 욕망을 막는 '갈등'? 장애물/대적자/내적 갈등은?”
3 갈등 앞에서 인물의 '행동'? 어떻게 맞서거나 피하려 하는가?”
4 행동의 '결과'? 문제 해결/새로운 갈등의 등장?”
5 다시 반복연쇄적 확대 이후 시련/성장 계기?”

 

이 과정을 반복적으로 적용하면,

이야기의 플롯은 자연스럽게 단단해지고, 인물은 역동적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반응형

 


✅ 사례로 보는 갈등과 행동의 연쇄

 

  • 영화 ‘해리 포터’: 볼드모트(외적 갈등) → 맞서기 위한 모험(행동) → 절체절명의 위기(새 갈등) → 마지막 결투
  • 멜로 소설: 진실을 숨긴 연인(내적 갈등) → 고백/거짓(행동) → 관계의 위기(새 갈등) → 화해 또는 이별

 

이처럼 갈등이 범위와 양상을 바꾸며 계속 이어지고,

각 단계마다 인물이 취하는 행동이 서사의 전진을 이끕니다.

 


✅ 강한 서사를 위한 갈등-행동 플롯 디자인 팁

 

  • 단순 반복 대신 갈등의 성격을 한 번씩 변주하라
  • 각 행동이 반드시 ‘새로운 결과’를 낳게 배치하라
  • 대립과 연대, 위기와 성장 등 다양한 갈등을 복합적으로 연쇄시켜라
  • 지나치게 우연한 전개 대신, 행동의 ‘필연성’에 집중할 것

🔚 결론 – 갈등과 행동의 연쇄는 플롯의 뼈대

 

좋은 이야기는 우연의 반복이 아니라, 갈등이 행동을 낳고,

행동이 또 다른 갈등을 만들어 내는 유기적 순환 구조를 가집니다.

 

이 연쇄의 흐름이 긴장·변화·성장을 만들어 내며,

독자를 그 이야기로 더 깊이 끌어들입니다.

 

창작을 할 때 “이 장면의 갈등은 무엇인지,

인물은 이를 어떻게 행동으로 풀어나가는지” 한 번 더 고민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