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왕초보 이야기 만드는 법: 공식과 구조
이야기는 단순한 사건의 나열이 아니라,
목표를 가진 인물이 장애물을 극복하며 성장하거나
변화를 겪는 과정을 구조적으로 풀어내는 예술입니다.
아래에서는 이야기의 기본 공식과,
단계별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
1. 이야기의 기본 공식
이야기의 원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주인공(캐릭터): 분명한 목표를 가진 인물
- 목표(Goal): 이루고자 하는 바, 혹은 갈망
- 장애물(Conflict/Obstacle): 목표를 방해하는 요소들
- 성장과 변화(Growth/Change): 장애물을 극복하며 겪는 내적·외적 변화
- 결말(Resolution): 목표 달성 여부와 그로 인한 결과
이 공식은 모든 이야기의 뼈대가 되며,
이를 어떻게 변주하고 확장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이 탄생합니다.
2. 이야기 구조의 단계별 확장
▪️ 2단계 구조
- 상(始): 문제의 시작(불행, 결핍 등)
- 하(終): 문제의 해결(행복, 성취 등)
이 구조는 너무 단순하여 드라마틱한 긴장감이나 몰입감이 부족합니다.
▪️ 3단계 구조
- 상(始): 사건의 발단
- 중(中): 갈등의 등장 및 전개
- 하(終): 문제의 해결
조금 더 구체적이지만, 여전히 깊이와 입체감이 부족합니다.
▪️ 4단계 구조 (기-승-전-결)
- 기(起): 상황의 제시(배경, 인물, 문제의 시작)
- 승(承): 사건의 발전(문제 해결을 위한 시도)
- 전(轉): 위기와 갈등의 고조(예상치 못한 전환)
- 결(結): 결말 및 변화(문제의 마무리와 성장)
이 구조는 동양권에서 많이 쓰이며, 이야기의 전개에 자연스러운 흐름을 부여합니다.
▪️ 5단계 구조
- 발단: 사건의 시초(문제 발생)
- 전개: 본격적인 사건의 진행
- 위기: 갈등·위기의 절정
- 절정: 가장 큰 위기, 클라이맥스
- 결말: 문제의 해결과 마무리
학창시절에 많이 배우는 공식으로, 대부분의 단편 소설이나 영화, 드라마가 이 틀을 따릅니다.
3. 12단계 구조: 영웅의 여정(Hero's Journey)
더 깊이 있는 이야기를 만들고 싶다면,
12단계 구조를 활용해보세요.
이 구조는 조셉 캠벨의 '영웅의 여정'에서 유래하였으며,
다양한 명작 영화와 소설에서 활용됩니다.
단계 | 명칭 | 내용 요약 |
1 | 일상세계 | 평범한 일상, 주인공의 현재 상태 |
2 | 모험의 소명 | 변화의 신호, 사건의 시작 |
3 | 조건의 부재 | 상실, 결핍, 슬픔 등 장애의 등장 |
4 | 관문에 열쇠 | 문제 해결의 실마리 등장 |
5 | 첫 관문 통과 | 새로운 세계로의 진입, 변화의 시작 |
6 | 시험 | 다양한 시련과 도전의 연속 |
7 | 그림자와의 조우 | 내적·외적 갈등의 심화 |
8 | 시련 | 가장 큰 고난, 절망의 순간 |
9 | 보상 | 깨달음, 새로운 희망 발견 |
10 | 정면승부 | 갈등의 직접적 해결 시도 |
11 | 각성 | 성장, 변화, 진실의 발견 |
12 | 일상 귀환 | 변화된 모습으로 돌아옴, 새로운 일상 |
이 구조를 활용하면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긴장과 이완, 갈등과 해소를 반복하며 몰입감이 높아집니다.
4. 이야기의 목표와 일관성
- 목표의 명확성: 주인공의 목표는 이야기의 중심축입니다. 목표가 명확해야 독자도 이야기의 방향을 쉽게 따라갈 수 있습니다.
- 맥락 유지: 중간에 목표와 무관한 인물이나 사건이 등장하면 이야기가 산만해집니다. 모든 사건과 캐릭터는 주제와 목표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 단계별 유기성: 각 단계가 자연스럽게 이어져야 하며, 작가가 이야기의 주제와 목표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완성도 높은 이야기가 됩니다.
5. 실전 팁: 명작 분석과 연습
- 영화·소설 분석: 명작의 플롯을 위 구조에 대입해보면, 각 단계에서 어떤 사건이 배치되어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자기 작품 적용: 본인이 쓰고자 하는 이야기를 단계별로 쪼개어 플롯을 설계해보세요. 각 단계마다 “이 사건이 왜 필요한가?”를 스스로 점검하면 논리적이고 흡입력 있는 이야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6. 결론
이야기는 공식에 따라 뼈대를 세우고, 그 위에 개성과 디테일을 더해 완성됩니다.
- 2~5단계: 단순한 이야기의 뼈대 설계
- 12단계: 깊이와 완성도를 높이는 플롯 설계
목표와 주제를 잊지 않고, 각 단계의 역할을 명확히 하며 이야기를 만들어보세요.
이 구조 연습만 잘해도 누구나 설득력 있고 감동적인 이야기를 쓸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작법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소설에 활용할 만한 트렌디한 소재 6가지 총정리 (22) | 2025.07.11 |
---|---|
우리가 일기를 매일 써야 하는 7가지 이유 (15) | 2025.07.09 |
조급함에 사로잡힌 당신에게: 지금도 충분히 잘하고 있습니다 (13) | 2025.07.06 |
글을 쓰다 ‘망했다’는 생각이 들 때, 끝까지 써야 하는 이유 (12) | 2025.07.06 |
웹소설, 지금 시작해야 하는 6가지 이유 (13) | 2025.07.06 |